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hub
- CS
- 99클럽
- 코딩테스트 준비
- css
- 코딩
- 면접(java
- 배열
- 회고
- 프로그래머스
- GIT
- 자료구조
- 코딩공부
- 개발자 취업
- Spring
- Til
- 항해99
- cs 공부)준비
- HTML
- 자바
- aop
- ArrayList
- wil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Java
- 코딩문제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Grafana
- Entity
- 메서드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4)
hayu's 개발 일지

Prometheus & Grafana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이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동작들에 대한 메트릭을 수집하여 성능을 분석하는 분야를 말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오픈 직전에는 성능 테스트를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 과정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Metric(메트릭) 메트릭이란 측정 가능한 양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 또는 지표를 말한다. 데이터 분석이나 평가, 성능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메트릭을 잘 수집하면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Prometheus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오픈 소스 모니터링 도구로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영속성 컨텍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애플리케이션과 DB 사이에서 객체를 보관하는 가상의 저장소같은 역할이다. 엔티티 메니저(EntityManager)를 통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한다. → 엔티티 메니저를 통해 엔티티를 저장, 조회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해당 엔티티를 보관하고 관리한다. 영속성 컨텍스트는 JPA에서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이며, 엔티티(Entity) 객체를 영구 저장하고 데이터 베이스와 상호작용한다. 엔티티의 생명주기 비영속(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트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이다.(무관한 상태) 영속(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이다.(저장된 상태) 준영속(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이다...
열거형(enum) 이란? 열거형(Enum)은 요소, 멤버라 불리는 명명된 값의 집합을 이루는 자료형이다. 즉, 상수로 구성된 특별한 클래스이다. 클래스처럼 변수와 메서드를 가질 수 있지만, 상속이나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는 없으며, enum 값은 상수로 public, static, final 속성을 가지고 있어 변경될 수 없다. enum의 장점 데이터 값의 의미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컴파일 시 데이터 타입 및 유효성 체크를 할 수 있다. enum 선언 방법 열거형은 enum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하며, 열거형의 이름은 보통 클래스명과 같이 첫 글자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 안에 열거값(열거 상수)은 ,로 구분하며 대문자를 사용한다. 열거 상수가 여러 단어로 구성될 경우, 단어 사이를 밑줄(_)로 연결한..

wrapper 클래스 자바의 자료형은 크게 기본 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누어진다. 대표적으로 기본 타입은 char, int, float, double, boolean 등이 있고 참조 타입은 class, interface 등이 있는데 기본 자료 타입을 객체로 다루기 위해서 사용하는 클래스들을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라고 한다. 자바는 모든 기본타입은 값을 갖는 객체 생성이 가능하다. 이런 객체를 포장 객체라고도 하는데 기본 타입의 값을 내부에 두고 포장하기 때문이다. 래퍼 클래스로 감싸고 있는 기본 타입 값은 외부에서 변경할 수 없다. 값을 변경하고 싶다면 새로운 포장 객체를 만들 수 있다. 래퍼 클래스 종류 기본타입(primitive..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이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서버에서 실행해서 직접 테스트 해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테스트 코드를 통해 어떤 값이 주어졌을 때(Given), 어떤 실행을 하면(When), 어떤 결과가 나와야 하는지(Then)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를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 given - when - then 수정사항이 발생하면 기존의 코드에 영향을 주는지 테스트 코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정확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놓으면 실제 코드를 제대로 작성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TDD : 테스트 주도 개발) TDD(Test-Driven Development : 테스트 주도 개발) TDD는 개발이 이루어진 다음 테스트 케이스 작성 및 ..

이번주 배운 내용 - 이번주에는 최소 mvp를 구현하고 이 부분에 대한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해 공부했다. - 이번주에는 중간 발표를 진행했는데 지금까지 했던 프로젝트의 중간 결과를 보여주는 시간이었다. 새로 알게된 점 - 아직은 내가 구현한 부분밖에 모르는데, 빨리 전체적인 코드 리뷰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다. 팀원들과 코드 리뷰와 리펙토링 시간을 갖기로 했다. 어려웠던 점 - 내가 맡은 부분은 어려운 부분이 아니라서 질문이 오지 않았다. 다른 부분에서의 질문은 내가 전체적인 코드 리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답하기 어려웠다. 아쉬웠던 점 - 전체적으로 코드리뷰를 하고 공부를 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 같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인데 내가 구현하지 않아서 대답할 수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 같다. 너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