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Entity
- 면접(java
- Java
- aop
- 코딩문제
- HTML
- 배열
- GIT
- github
- 코딩테스트 준비
- 자바
- 메서드
- css
- 개발자 취업
- CS
- wil
- Grafana
- 회고
- ArrayList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코딩
- 자료구조
- 99클럽
- Til
- Spring
- cs 공부)준비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프로그래머스
- 항해99
- 코딩공부
- Today
- Total
목록cs 공부)준비 (4)
hayu's 개발 일지

학습 키워드- 면접(JAVA, CS 공부)준비 공부한 내용즉시로딩과 지연로딩은 각각 언제 사용하면 좋은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즉시 로딩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조회되는 것을 말합니다. 지연 로딩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는 프록시로 조회되며 프록시를 실제 사용할 때 초기화되면서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합니다. 즉시 로딩은 쿼리문을 두 번 따로 사용하여 조회하지 않고 연관도니 엔티티를 즉시 조회하는 게 더 유리할 때 사용합니다. 지연 로딩은 필요한 시점에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하여 로딩시간을 줄이고 불필요한 쿼리문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필요한 데이터 조회시에 사용됩니다. NoSQL과 RDBMS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장, 단점을 들어 설명해주세요.→ NoSQL의 특징은 스..

학습 키워드- 면접(JAVA, CS 공부)준비 공부한 내용N+1 문제의 발생 이유와 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해결 방법은 3가지 이상 말씀해주시면 좋습니다.→ N+1 쿼리는 jpa의 프록시로 인한 지연 로딩때문에 발생합니다. N+1 의 의미는 1개의 쿼리를 실행했을 때, 내부에 존재하는 컬렉션들을 조회해오면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 Join Fetch를 사용하는 방법 두 번째, @EntityGraph을 사용하는 방법 세 번째, FetchType을 지연로딩에서 즉시 로딩으로 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Primary Key, Foreign Key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Primary Key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에서 각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학습 키워드- 면접(JAVA, CS 공부)준비 공부한 내용Call by reference란 무엇이고 보통 어떻게 쓰이나요?→ Call by reference는 참조에 의한 호출을 말합니다. 전달받은 값을 변경할 경우 원본도 같이 변경됩니다. java 에서는 Call by value 로만 동작합니다. 자바에서 매개변수를 넘기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참조를 넘기는게 아닌 주소값을 복사해서 넘기는 call by value로 작동합니다. 복사된 주소값으로 참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소값이 가리키는 객체의 내용 변경이 되는 것입니다. JVM의 스택과 힙메모리 영역에 대해 아는 만큼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스택 메모리는 임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각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약간의 공간을 차지하며, 함수가 종료되..

학습 키워드- 면접(JAVA, CS 공부)준비 공부한 내용Java Map의 내부 구현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을지 추측해보실 수 있을까요?→ 자바의 맵은 해시맵, 트리맵 등 여러가지 구현 방식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해시맵입니다. 해시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며 내부적으로 배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각 키의 해시 코드를 계산하여 해당 키를 배열의 인덱스로 매핑됩니다.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 배열의 요소는 트리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Garbage Collector의 역할, 원리, 알고리즘에 대해 아는 만큼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가비지 컬렉터의 역할은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식별하고 메모리에서 제거하여 자원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가비지 컬렉터는 주기적으로 실행되며 실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