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99클럽
- aop
- 배열
- 코딩공부
- Java
- github
- Til
- Grafana
- 자바
- 회고
- 코딩문제
- 코딩테스트 준비
- Spring
- 개발자 취업
- 자료구조
- CS
- wil
- css
- cs 공부)준비
- ArrayList
- 프로그래머스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GIT
- 코딩
- HTML
- 항해99
- Entity
- 메서드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면접(java
- Today
- Total
hayu's 개발 일지
99클럽 코테 스터디 35일차 TIL + 면접(JAVA, CS 공부)준비 본문

학습 키워드
- 면접(JAVA, CS 공부)준비
공부한 내용
즉시로딩과 지연로딩은 각각 언제 사용하면 좋은지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즉시 로딩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조회되는 것을 말합니다. 지연 로딩은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는 프록시로 조회되며 프록시를 실제 사용할 때 초기화되면서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합니다. 즉시 로딩은 쿼리문을 두 번 따로 사용하여 조회하지 않고 연관도니 엔티티를 즉시 조회하는 게 더 유리할 때 사용합니다. 지연 로딩은 필요한 시점에 연관된 엔티티를 조회하여 로딩시간을 줄이고 불필요한 쿼리문 사용을 방지할 수 있어 필요한 데이터 조회시에 사용됩니다.
NoSQL과 RDBMS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장, 단점을 들어 설명해주세요.
→ NoSQL의 특징은 스키마가 유연하며, 확장성이 뛰어나 비구조화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적합합니다. 그리고 대량의 분산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효율적이며, 수평적 확장이 용이합니다. 장점은 대량의 분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빅 데이터와 관련된 작업에 효과적입니다. 유연한 스키마로 데이터 구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데이터 일관성 보장이 어려울 수 있고 복잡한 쿼리 지원이 안되는 것입니다. RDBMS의 특징은 정형화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적합합니다.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데 좋고, 복잡한 관계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데이터의 일관성이 보장되며, 복잡한 관게를 표현할 수 있고,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여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확장성이 제할 될 수 있고 대규모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스키마 변경이 어렵하는 것입니다.
GET, POST의 개념과 함께 데이터 흐름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GET은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조회를 위한 요청을 하며, 주로 읽기 작업에 사용됩니다. POST는 HTTP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 서버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쓰기 작업에 적합합니다. GET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파라미터가 노출되지만, POST는 숨겨집니다. GET은 길이 제한이 있으며 민감한 정보에 적합하지 않고, POST는 길이 제한이 없으며 보안이 더 강화됩니다. 두 방식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HTTP 메서드로 사용되지만, 데이터의 위치와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IT 개념 정리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40708 REST API(1) (0) | 2024.07.08 |
---|---|
[TIL]240703 REST API URI 작성 규칙 (0) | 2024.07.03 |
99클럽 코테 스터디 22일차 TIL + 면접(JAVA, CS 공부)준비 (1) | 2024.06.11 |
99클럽 코테 스터디 16일차 TIL + 면접(JAVA, CS 공부)준비 (1) | 2024.06.05 |
99클럽 코테 스터디 14일차 TIL + 면접(JAVA, CS 공부)준비 (0) | 202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