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wil
- cs 공부)준비
- 코딩공부
- 코딩테스트 준비
- Grafana
- Entity
- 회고
- 개발자 취업
- Til
- 항해99
- aop
- CS
- Java
- 배열
- css
- ArrayList
- 코딩문제
- 메서드
- 자바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99클럽
- 프로그래머스
- GIT
- HTML
- 면접(java
- Spring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자료구조
- 코딩
- github
- Today
- Total
목록스터디 (8)
hayu's 개발 일지
Custom Annotation과 AOP로 메서드 실행시간 측정하기실행 시간을 측정하고 싶은 메서드에 @TimeTrace 라는 에너테이션을 추가하면 동작되도록 하기 build.gradle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op'} 커스텀 에너테이션을 만든다. TimeTrace.javapackage com.sparta.moit.global.config.aop;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Policy;import java.lan..

SSE(Server-Sent-Events)SSE(Server-Sent-Events)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실시간 업데이트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웹 기술 중 하나이다.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비동기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SSE는 단방향 통신아며 클라이언트의 별도 추가 요청 없이 서버에서 업데이트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Spring 에서는 Spring MVC에서 사용되는 SseEmitter 클래스를 제공하여 손쉽게 SSE 스트림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이벤트를 푸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유지하면서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SE(Server-Sent-Events) 장점과 단점장점HTTP를 통해 통신하므로 다른 프..

Prometheus & Grafana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이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동작들에 대한 메트릭을 수집하여 성능을 분석하는 분야를 말한다. 모니터링을 통해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는 동작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오픈 직전에는 성능 테스트를 할 수 있으며 서비스 운영 과정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Metric(메트릭) 메트릭이란 측정 가능한 양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척도 또는 지표를 말한다. 데이터 분석이나 평가, 성능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메트릭을 잘 수집하면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Prometheus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오픈 소스 모니터링 도구로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extends, implements 차이 ? 왜 extends를 하지 않았는데 @Override를 사용할까? public class MeetingServiceImpl implements MeetingService { @Override @Transactional public Long updateMeeting(UpdateMeetingRequestDto requestDto, Member member, Long meetingId) { Meeting meeting = meetingRepository.findByIdAndMember(meetingId,member) .orElseThrow(()-> new CustomException(ErrorCode.AUTHORITY_ACCESS)); meeting.updateMee..

인증(Authentication)이란? 인증이란, 식별 가능한 정보(이름, 이메일 등)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등록 유저의 신원 입증하는 과정이다. (신원 확인) 인가 이전에 완료 되며 일반적으로 회원의 로그인 정보가 필요하다. 만약 인증이 실패하면 클라이언트는 401 에러를 응답받는다. 나의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뜻이다. 인가(Authorization)란? 인증된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자원에 대한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다. 인가는 항상 앞에 인증이라는 프로세스가 필요하다.(인증하지 않은 유저의 권한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회원의 권한이나 역할이 필요하다. 만약 인가가 실패하면 클라이언트는 403 에러를 응답받는다. 인증 방식 쿠키 세션 방식 사용자의 정보를 세션에 저장하..
템플릿 엔진이란? 지정된 템플릿 양식과 데이터가 합쳐져 HTML 문서를 출력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ex. 서버 템플릿 엔진: JSP, Freemarker 클리아언트 템플릿 엔진: 리엑트, 뷰 등) 머스테치란? 수많은 언어를 지원하는 가장 심플한 템플릿이다. 루비, 자바스크립트, 파이썬, PHP, 자바 등 현존하는 대부분의 언어를 지원한다. 자바에서 사용될 때는 서버 템플릿 엔진으로, 자바 스크립트를 사용할 때는 클라이언트 템플릿 엔진으로 모두 사용한다. 머스테치의 장점 문법이 다른 템플릿 엔진보다 심플하다. 로직 코드를 사용할 수 없어 View 의 역할과 서버의 역할이 명확하게 분리된다. 하나의 문법으로 클라이언트/서버 템플릿을 모두 사용 가능하다. CRUD 코드 리펙토링(lv1 과제 코드) 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