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
- github
- 코딩공부
- 자료구조
- 메서드
- ArrayList
- CS
- 자바
- wil
- Entity
- 99클럽
- 프로그래머스
- Spring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코딩
- 면접(java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Java
- aop
- 코딩테스트 준비
- 회고
- 개발자 취업
- Grafana
- css
- 코딩문제
- Til
- 항해99
- HTML
- 배열
- cs 공부)준비
- Today
- Total
목록WebSocket (2)
hayu's 개발 일지

Polling 클라이언트가 평범한 HTTP Request를 서버로 계속 요청해 이벤트 내용을 전달받는 방식이다. 가장 쉬운 방식이지만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Request를 요청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수가 많아지면 서버의 부담이 급증한다. HTTP Request Connection을 맺고 끊는 것 자체가 부담이 많은 방식이고, 클라이언트에서 실시간 정도의 빠른 응답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정하게 갱신되는 서버 데이터의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Long Polling Long Polling(롱 폴링)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즉시 응답하지 않고 일정 시간 동안 연결을 유지한 채로 대기하다가 새로운 데이터 또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응답을 반환하는 방식의 통신 기법이다. 일..

websocket HTML5 표준 기술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을 열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단방향 통신 : TV, 라디오 지연 시간이 낮고 효율적이다. 단일 TCP 연결을 유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및 네트워크 사용이 효율적이다. open connection 을 유지해줘야 하기 때문에 따로 chat server 를 만들어서 관리한다. 웹소켓의 동작 방식 웹소켓은 양방향 통신이기 때문에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Handshake 과정을 진행한다. 기존의 다른 TCP 기반의 프로토콜은 TCP layer에서의 Handshake를 통해 연결을 수립하는 반면, 웹소켓은 HTTP 요청 기반으로 Handshake과정을 거쳐 연결을 수립한다. Handshake 과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