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딩
- wil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취업
- cs 공부)준비
- Spring
- 면접(java
- ArrayList
- 항해99
- CS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Java
- 코딩문제
- 자료구조
- 배열
- aop
- Til
- 회고
- Entity
- github
- Grafana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메서드
- 코딩공부
- HTML
- 코딩테스트 준비
- 99클럽
- GIT
- 자바
- cs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4)
hayu's 개발 일지
공부한 내용finalfinal 키워드는 이름 그대로 끝이라는 뜻이다.변수에 final 키워드가 붙으면 더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final 은 class , method 를 포함한 여러 곳에 붙을 수 있다.final 지역변수package final1;public class FinalLocal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지역 변수1 final int data1; data1 = 10; //최초 한번만 할당 가능 //data1 = 20; //컴파일 오류 //final 지역 변수2 final int data2 = 10; //data2 = 20; //..
공부한 내용static 변수static 변수는 쉽게 이야기해서 클래스인 붕어빵 틀이 특별히 관리하는 변수이다. 붕어빵 틀은 1개이므로 클래스 변수도 하나만 존재한다.public class Data3 { public String name; public static int count; //static}이 코드에서 name과 count 모두 멤버 변수이다.멤버 변수(필드) static이 붙은 것과 아닌 것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멤버 변수(필드의 종류)인스턴스 변수 : static이 붙지 않은 멤버 변수이다. 예) namestatic이 붙지 않은 멤버 변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사용할 수 있고, 인스턴스에 소속되어 있다. 따라서 인스턴스 변수라 한다.인스턴스 변수는 인스턴스를 만들 때 마다 새로 ..
공부한 내용자바 메모리 구조자바의 메모리 구조는 크게 메서드 영역, 스택 영역, 힙 영역 3개로 나눌 수 있다.메서드 영역 : 클래스 정보를 보관한다. 이 클래스 정보가 붕어빵 틀이다.스택 영역 : 실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영역이다. 메서드를 실행할 때 마다 하나씩 쌓인다.힙 영역 : 객체(인스턴스)가 생성되는 영역이다. new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 영역을 사용한다.메서드 영역(Method Area) : 메서드 영역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공통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 영역은 프로그램의 모든 영역에서 공유한다.클래스 정보 : 클래스의 실행 코드(바이트 코드), 필드, 메서드와 생성자 코드 등 모든 실행 코드가 존재한다.static 영역 : static 변수들을 보관한다.런타임 상수 풀 : 프로그램을..
공부한 내용REST API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HTTP 네트워크 상의 리소스(Resource, 자원)를 정의하고 해당 리소스를 URI라는 고유한 주소로 접근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하며, REST API란 REST 방식을 통해서 리소스에 접근하기 위한 서비스 API를 지칭한다.REST에서 의미하는 리소스REST에서 의미하는 자원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트,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HTTP 통신을 통해 주고 받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URL(Uniform Resource Locator)URI는 네트워크 상에 있는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
공부한 내용캡슐화캡슐화(Encapsulation)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다.캡슐화는 데이터와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는 메서드를 하나로 묶어서 외부에서의 접근을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캡슐화를 통해 데이터의 직접적인 변경을 방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캡슐화는 쉽게 이야기해서 속성과 기능을 하나로 묶고, 외부에 꼭 필요한 기능만 노출하고 나머지는 모두 내부로 숨기는 것이다.⇒ 캡슐화를 안전하게 완성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가 바로 접근 제어자이다.캡슐화 - 접근 제어자의 사용 목적캡슐화는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여 ‘클래스의 멤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이를 통해 클래스의 내부 구현 세부사항을 숨기고 있어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함으로써 안정성과 유지 보수성을 높일..

공부한 내용접근 제어자접근제어자는 멤버 또는 클래스에 사용되어 해당하는 멤버 또는 클래스를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접근 제어자를 사용하여 적절한 접근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클래스와 멤버의 캡슐화를 유지하고 응집도를 높이며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다.접근제어자는 생략가능하며 생략했을 때는 자동으로 default 임을 뜻하게 된다. 따라서 default일 경우에는 접근제어자를 지정하지 않는다.접근제어자가 사용될 수 있는 곳은 클래스, 멤버 변수, 메서드, 생성자이다.접근 제어자의 종류순서대로 private 이 가장 많이 차단하고, public 이 가장 많이 허용한다.private -> default -> protected -> publicpublic :클래스, 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