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aop
- ArrayList
- 코딩테스트 준비
- CS
- 코딩
- 자료구조
- 메서드
- 정렬 알고리즘(sort algorithm)
- 이진 탐색(binary search)
- HTML
- cs 공부)준비
- 회고
- 코딩문제
- 99클럽
- wil
- 면접(java
- 프로그래머스
- Entity
- Til
- 배열
- github
- 자바
- Java
- Spring
- 개발자 취업
- Grafana
- 코딩공부
- 항해99
- css
- Today
- Total
hayu's 개발 일지
[TIL]240223 메서드(1) 본문
메서드
- 자바에서는 함수를 메서드라고 한다. 메서드도 함수의 한 종류이다.
예시 코드를 보자
public static int add(int a, int b) {
System.out.println(a + "+" + b + " 연산 수행");
int sum = a + b;
return sum;
}
메서드는 크게 메서드 선언과 메서드 본문으로 나눌 수 있다.
메서드 선언
public static int add(int a, int b)
- 메서드의 선언 부분으로 메서드 이름, 반환 타입, 매개변수(파라미터) 목록을 포함한다.
public static
public: 다른 클래스에서 호출할 수 있는 메서드라는 뜻이다.
static: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호출할 수 있는 정적 메서드라는 뜻이다.
int add(int a, int b)
int: 반환 타입을 정의한다. 메서드의 실행 결과를 반환할 때 사용할 반환 타입을 지정한다.
add: 메서드에 이름을 부여한다. 이 이름으로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int a, int b): 메서드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을 정의한다. 이 변수들은 해당 메서드 안에서만 사용된다. 이렇게 메서드 선언에 사용된 변수를 영어로 파라미터, 한글로 매개변수라 한다.
메서드 본문
{
System.out.println(a + "+" + b + " 연산 수행");
int sum = a + b;
return sum;
}
- 메서드가 수행해야 하는 코드 블록이다.
- 메서드를 호출하면 메서드 본문이 순서대로 실행한다.
- 메서드 본문은 블랙박스이다. 메서드를 호출하는 곳에서는 메서드 선언은 알지만 메서드 본문은 모른다.
- 메서드의 실행결과를 반환하려면 return 문을 사용해야 한다. return 문 다음에 반환할결과를 적어주면 된다.
메서드 호출
int sum1 = add(5, 10);
- 앞서 정의한 메서드를 호출해서 실행하려면 메서드 이름에 입력값을 전달하면 된다. 보통 메서드를 호출한다고 표현한다.
메서드 호출과 용어정리
- 메서드를 호출할 때는 메서드에 넘기는 값과 매개변수(파라미터)의 타입이 맞아야 한다. 물론 넘기는 값과 매개변수(파라미터)의 순서와 갯수도 맞아야한다.
호출: call("hello" , 20)
메서드 정의: int call(String str, int age)
인수(Argument)
- 여기서 "hello", 20 처럼 넘기는앖을 영어로 Argument, 한글로 인수 또는 인자라고 한다.
- 인수라는용어는 '들어가는 수'라는 의미를 가진다. 즉, 메서드 내부로 들어가는 값을 의미한다. 인자도 같은 의미이다.
매개변수(Parameter)
- 메서드를 정의할 때 선언한 변수인 String str, int age를 매개변수, 파라미터라 한다.
- 메서드를 호출할 때 인수를 넘기면, 그 인수가 매개변수에 대입된다.
- 매개변수는 '중간에서 전달하는 변수'의 의미를 갖는다. 즉, 메서드 호출부와 메서드 내부 사이에서 값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변수라는 뜻을 가진다.
'기술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240226 애너테이션(Annotation) (0) | 2024.02.26 |
---|---|
[TIL]240224 메서드(2) (1) | 2024.02.24 |
[TIL]240220 배열(2) (0) | 2024.02.20 |
[TIL]240219 배열(1) (0) | 2024.02.19 |
[TIL]240212 반복문(2) (0) | 2024.02.12 |